목록전체 글 (56)
soozya
[문제] [답] [풀이] 코드가 길어졌는데 다른 사람 풀이에서 삼항연산자 쓰는거 보고 머리짚... 세상에 그런 방법이 있어....ㅎㅋㅎㅋㅎㅋㅋ... 다양한 코드의 세계... 암튼 a와 b의 숫자 중 i를 작은수와 같은 값으로 놓고, 큰수보다 같거나 작을 때까지 반복하여 덧셈을 해주는 것이다. 근데 보다보니 Math.min(a,b) / Math.max(a,b) 를 쓰길래 뭔가 하고 찾아보니, min은 a와 b중 작은 숫자, max는 큰 숫자를 반환해서 계산해주는 것이었다..! 다른 사람 코드 보면서 많이 배워간다..ㅎㅎ...
[문제] [답] [풀이] 리스트 answer을 선언하고, num이라는 변수에 x를 넣어줌..왜냐하면 나중에 계산할 때 오류 생길지도..ㅎ x가 2고, n이 5일 때for문의 내용 기준 0번째는 num이니까 x의 값인 2가 들어감.. 8라인) num(2)과 x(2)를 더해서 num의 값은 4가 됨.. 다시 for문의 시작인 6라인으로 돌아가서 i의 값은 1이 되고, 리스트 1번째는 num이니까 4가 됩니다.. 글고 4에 다시 x(2)를 더해서 6.. 반복하면 2번째는 6, 3번째는 8, 4번째는 10이 됩니다..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즉, 정리하자면 각 배열의 자리에 정수 x를 n-1번만큼 넣어줄 수 있다는 뜻임!
[문제] [답] (1) for문 사용 [풀이] 풀면서도 으이구 뻔해~ 했던지라 다른 사람의 풀이를 살펴보니 Math.sqrt()와 Math.pow() 를 사용해서 나도 참고해보기로 함. (2) Math.sqrt(), Math.pow() 사용 [풀이] 역시 아는 것이 힘이다..! Math.sqrt(n)일 때, n의 제곱근을 구해주는 메서드입니다요. 참고로 음수는 NaN을 반환함.. Math.pow(double n, double m) 일 때 n을 m번 곱하는 것을 의미함..double 형식이므로 필요시 형변환 하기... (1)의 방법은 약간 뻔하다 싶은데, (2)의 방법은 간결해진데다가 적절하게 메서드 사용도 사용해 볼 수 있는 느낌? 근데 (1)도 값이 틀린건 아니기 때문에 너무 겉멋들려 하지말고 기초나 ..
[문제] [답] (1) 삼항연산자 사용하기 [풀이] p와 y의 개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일단 int p와 int y라는 변수 설정, 그리고 p와 y 모두 대문자도 소문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toLowerCase()를 작성해줬다! 대문자로 해도 상관 없겠쥬~ for문을 사용하여 문자열 자리에 'p'가 있으면 p의 수를 올리고, 'y'가 있으면 y의 수를 올려 p와 y의 개수가 다르다면 false를, 같거나 없다면 true를 반환하도록 삼항연산자를 작성해주었다 (2) 변수를 하나만 작성하기 [풀이] 다른 사람의 풀이에서 어떤 분이 변수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을 보고 오..!! 하면서 감탄아닌 감탄ㅋㅋㅋ 애초에 람다함수 이런건 아직 내 능력 밖이고, 보통 변수 2개로 나누어 비교하는데 하나의 변수만으로 결과를 ..
[문제] [답] [풀이] 그냥...그냥 바꿨는디요....🙄 생각해보니 3라인 빼고 return다음에 바로 Integer.valueOf(s)를 썼어도 될뻔..? 근데 또 문제에 +,-에 대한 조건이 있어서... 근데.. 에러는 안나니까......
[문제] [답] [풀이] 약간.. 똥멍청이 된거같음...ㅎ.. 일단 자연수 n을 문자열 str로 변환함... 배열 answer에 자연수 n의 길이를 저장쓰.. for문을 통해... 배열 i의 값... 자연수 n보다는 작은 길이.... i가 0일 때.. 즉.. 첫번째 자리.. 자연수 나누기 10의 나머지와 몫.. i가 1일 때, 몫을 또 10으로 나누고... 그렇게 차곡차곡... 12345일 때.. 12345 나누기 10의 몫 1234, 나머지 5.. 그래서 0번째 배열(순서상 첫번째)의 값은 5.. i++ 이니까 0에서 하나 올려 i=1이므로, 1번째 배열은 1234나누기 10.. 몫 123, 나머지 4니까 1번째 배열값 4... 반복해서 2번째 배열은 123 나누기 10.. 몫 12, 나머지 3.. 3..
[문제] [답] [풀이] ㅎ.. 케찹고백.. 솔직히 다른 사람 코드 참고해서 작성함..ㅎㅎ. 우선 나머지가 필요한데용.. 123을 예로 들었을 때, 123을 10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3임.. answer에 3이 들어갔죠? 그리고 몫 12를 n에 대입해서 다시 10으로 나눔.. 나머지는 2가 나오고, 기존 3에 2를 더하면 5가 됐죠? 그리고 다시 12나누기 10의 몫 1을 n에 대입해서 1을 10으로 나누면 나머지는 1이 나오고, 기존 5에 1을 더하면 6..! 몫은 0이므로 더이상 나누기 NO..... 987로 예를 들었을 때, 10으로 나누면 몫 98, 나머지 7 👉🏻 answer = 7 98을 10으로 나누면 몫 9, 나머지 8 👉🏻 answer = answer(7)+8 = 15 9를 10으로 나누..
[문제] [답] [풀이] 문제 보자마자 약수..? 언제적 약수?? 하면서 한참 보다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문제 풀기 시작... 일단 정수 n을 특정 숫자로(여기서는 i)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라면 약수에 해당됩니다요 그렇기 때문에 일단 나눌 숫자 i의 범위를 정해주는데, 나눗셈이기 때문에 0은 의미가 없으므로 i의 값은 1부터 시작! 나눌 수는 정수 n보다 같거나 작아야되겠죵? 약수엔 자기 자신도 포함되니까! 그래서 정수n을 1부터 n보다 같은 수까지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인 수 i를 받아와서 다 더 할 수 있도록... 그렇게..